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절세 가능한 최대 금액은?)

by 지금받아요 2025. 7. 8.
반응형

 

2025 연금저축·IRP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절세 가능한 최대 금액은?)

1. 연금저축과 IRP란?

연금저축(펀드/보험/신탁)과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노후자금 마련 + 연말정산 세액공제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절세 금융상품입니다.

매년 납입한 금액의 일부를 세액에서 직접 공제받을 수 있어 소득이 많은 40~50대 직장인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2. 2025년 세액공제 한도 정리

  • 총 세액공제 한도: 700만원
  • 이 중 연금저축은 최대 400만원까지 공제 가능
  • IRP는 단독으로 최대 700만원까지 납입 가능 (연금저축 미가입 시)
  • 세액공제율: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6.5%, 초과 시 13.2%

예: 총급여 5,000만 원, 연금저축 300만 원 + IRP 400만 원 납입 → 총 700만 원 × 16.5% = 115.5만 원 세액공제

3. 절세 가능한 금액 계산법

아래 공식으로 대략적인 절세 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세액공제액 = (연금저축 납입금 + IRP 납입금) × 공제율
  • 공제율: 소득에 따라 13.2% 또는 16.5%

소득이 높을수록 공제율이 낮아지므로, 부부가 나눠서 가입하는 것도 전략입니다.

4. 납입 전략 & 유의사항

  • 연말에 한꺼번에 납입해도 공제 가능 (단, 연 1회 이상 납입 필수)
  • 중도해지 시 세액공제 혜택 반환 (추징세 발생)
  •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해야 세제혜택 유지
  • 펀드 수익률, 수수료 비교 필수

5. 가입 방법 및 절차

  1. 은행, 증권사, 보험사 앱 또는 홈페이지 접속
  2. 연금저축 또는 IRP 상품 선택
  3. 납입 금액 및 방식 선택 (자동이체 권장)
  4. 공동인증서 또는 PASS 인증으로 개설 완료

IRP는 퇴직금 이관용으로도 활용 가능하며, 재직자도 추가 납입 가능합니다.

6. 세액공제 계산기 바로가기

아래 링크를 통해 연금저축·IRP의 예상 세액공제 혜택을 계산해보세요. 1분 내 입력만으로 연말정산 환급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